교육일정 : 2024-11-08~2024-11-08 (오후 09시 ~11시)
교육장소 : 여의도
수강료 : 별도
교육문의 : 010-3181-8154
「한국형 CCRC의 방향성」 - 해안건축 신용호 소장
대한민국 유일무이唯一無二 헬스케어 실버타운개발포럼이 8일 여의도 O2타워 서울핀테크랩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우리나라 헬스케어산업과 도시정비분야에 있어 융복합적인 학문연구의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여 시작한 포럼은 올해 7회를 맞이했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한국형 CCRC의 방향성」 해안건축의 신용호 소장이 발표, 관계자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국내CCRC 현황 및 특징으로 (입지적 특장범 강조-수도권 입지 및 강남과의 거리, 5성 호텔급 컨시어지 서비스, 상급 병원 연계, 국내최조 타이틀-하이엔드, 의료복합, CCRC, 세대공존, 시설복합 등) 단지 특화 포인트를 살펴보았다.
일본은 독자적인CCRC로 전 세대 공존 가능한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 정립, 국가 및 지자체 연계가 필수적이며 다양한 재택 서비스가 활성화되었으며, 다양한 세대 참여 가능한 콘텐츠, 시설 복합화로 “도시 속의 도시” 를 창조하였다.
미국 CCRC는 독립적인 시니어 타운 내에서 다양한 의료 서비스 제공, Memory Care는 필수적으로 포함, 기본 상품뿐만 아니라 단기 재활형 주거 상품을 제공하는 등 수익 상품 다각화에 성공하였다.
이상 일본과 미국의 꾸준한 CCRC 연구, 독자적 모델 개발 성공사례 즉 장기적 안목으로 다양한 특징을 띄고 있으나 국내 CCRC는 아직 걸음마 단계이므로 선진 사례의 특화 포인트를 활용, “국내 최초 CCRC” 목표를 설정 기존 체계 및 유형 분석을 통한 1. 생애 주기 확장 2. 상품 체계 확장 3. 주거 유형 확장이라는 3가지 상품 컨셉을 제안하였다.
사업지 현황과 고객 및 개발 수요를 모두 고려한 상품 컨셉 도출하여 대규모 개발사업에 걸 맞는 전 생애 주기, 경제력을 고려한 CCRC 상품개발이라는 한국형 CCRC방향성이라는 새로운 명제를 제시하여 큰 반향(反響)을 불러왔다.
이번 포럼은 한국도시환경연구원,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 도시환경헤럴드가 추최하고 한국핀테크산업협회,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병원신문, 동국대학교 법무대학원이 후원했다.
주최인 한국도시환경연구원에서는 건국대학교 미래지식교육원에서 헬스케어실버타운개발전문가과정을 개설 실무전문가 양성에도 힘쓰고 있으며 큰 호응을 받고있다.
공동주최의 한국도시환경연구원,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은 12월 10일(화) 저녁6시 청담 리베라호텔 2층 샤모니홀에서 한국헬스케어실버타운개발 융복합학회 창립 심포지엄을 개최 예정이다.